Section | |||||||||||||
---|---|---|---|---|---|---|---|---|---|---|---|---|---|
|
...
MCCS에서는 이런 리소스들간의 의존 관계를 계층적인 트리 형태로 간단히 구성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위의 화면을 통하여 리소스들 간에 의존 관계를 알 수 있습니다.
부모인 네트워크주소 리소스는 그의 자식 리소스인 네트워크카드 리소스에 의존하며, 부모인 복합응용 리소스와 기본응용 리소스는 그의 자식 리소스인 네트워크주소 리소스에 의존하는 리소스입니다의존합니다.
MCCS는 그룹 단위로 페일오버를 진행합니다. 따라서 그룹 내의 모든 리소스들을 서로 의존 관계로 연결하고 하나의 그룹으로 구성해서 실행이 되어야 의미 있는 의미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리소스 2 개를 2개를 부모 자식으로 의존 관계를 설정하면 상하 2 단계의 레벨로 볼 수 있으며, 최대 레벨은 그룹 속성의 'MaxDependencyLevel' 값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link 설정
[그림] Link 설정 화면
...
- 의존 관계를 제거할 때는 팔레트에서 '선택'을 선택합니다클릭합니다.
- 제거할 link를 선택합니다.
- 선택한 link는 리소스의 양 끝점에 큰 포인트가 생기면서 선택된 상태임을 알려줍니다.
- 선택된 link에서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하여 팝업 화면에서 '의존성 삭제'를 선택합니다.
...
네트워크주소 리소스에서 IP를 할당하기 위해서는 먼저 물리적인 네트워크 카드가 필요합니다. 네트워크 카드 없이 IP 할당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네트워크 카드 리소스를 자식으로 , 네트워크주소 리소스를 부모로 하는 의존 관계를 설정하게 되면 네트워크주소 설정하면, 네트워크주소 리소스를 온라인 시도할 때 먼저 네트워크 카드가 정상적인 상태인지 확인합니다.
...
많은 응용프로그램들은 디스크(혹은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기록합니다. 따라서 응용프로그램들은 디스크에 의존하는 형태로 관계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데이터베이스의 경우는 데이터를 기록할 디스크를 지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는 디스크에 의존하도록 데이터베이스를 부모로 디스크를 자식으로 의존 관계를 설정합니다.
클라이언트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 할 접속할 수 있는 IP 주소가 필요하다면 네크워크주소를 자식으로 데이터베이스를 부모로 의존 관계를 설정합니다.
이 의존 관계를 바탕으로 MCCS에서는 그룹을 온라인 할 때, 네트워크주소 리소스와 디스크 un-lock 상태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었는지 확인한 후에 데이터베이스를 구동시킵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는 네트워크주소 리소스, 디스크 리소스를 모두 의존하는 관계로 설정되어야 합니다.
지금까지의 관계로 의존성을 구성해보면 다음과 같은 형태가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