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rsions Compared

Key

  • This line was added.
  • This line was removed.
  • Formatting was changed.
Section
Column

리소스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자원 요소를 말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etwork Interface Card), IP 주소(IP Address), 프로세스(Process), 서비스(Service), 스토리지(Storage) 등을 말합니다.
MCCS에서는 리소스를 고가용성 운영 관리의 최소 단위로 다룹니다.
MCCS에서는 리소스를 생성할 때에 고유한 이름을 입력해야 하며, 이 이름으로 리소스 들을 구분합니다.
그러므로 기존에 생성했던 이름이나 이미 예약된 키워드(예를 들면 네트워크 카드(NIC), 프로세스(process) 등)를 이름으로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리소스는 동작 형태에 따라 명령을 내릴 수 있는 일반 리소스(OnOff)와 모니터전용리소스(None)로 구분됩니다.
대부분의 리소스는 MCCS의 리소스의 상태에 따라서 Online 또는 Offline 할 수 있는 일반 리소스입니다.
이에 반해, 모니터전용리소스 는 Online 또는 Offline 할 수 없고 모니터만 가능한 리소스입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카드는 물리적으로 존재하는지 혹은 정상 상태인지 감시만 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주소는 온라인(online)/오프라인(offline) 명령으로 가상 IP(virtual IP)를 할당하거나 해제할 수 있습니다. 
리소스들에 명령을 내리고 모니터링을 하는 작업은 해당 타입의 에이전트가 담당하게 됩니다.


Column
width350px
Panel

이 페이지의 주요 내용

Table of Contents
maxLevel4

...

리소스 속성은 리소스가 동작을 취하거나 상태를 판단할 때 참조하는 값입니다.
속성들을 확인해 보려면 관리 콘솔에서 리소스를 생성한 후에 오른쪽의 속성 화면에서 볼 수 있습니다.
속성 값은 리소스 타입에 따라 일부 전용 속성이 있습니다.
리소스 속성 화면의 속성값에서 수정이 불가능한 값은 회색 바탕으로 나타납니다.

...

장애 발생시에 페일오버 시킬 것인지를 나타내는 속성입니다.
리소스를 생성할 때에 기본적으로 true로 설정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리소스에 true로 설정합니다.
시스템 운용에 중요한 영향을 주지 않는 리소스이거나, 장애가 발생해도 페일오버 할 수 없는 리소스인 경우에는 false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Critical 값은 페일오버 전용 그룹에서만 영향이 있으며, 병렬 모드 그룹에서는 별다른 영향이 없습니다.
Critical 속성은 단독으로 고려될 수도 있지만 리소스들 간의 종속성이 맺어진 경우에는 고려해야 할 상황이 많습니다.
Critical 속성이 설정이 되지 않은 리소스 일지라도 상위 리소스에 장애가 발생하면 상위의 리소스를 중심으로 페일오버를 진행해야 합니다.

...

*Enabled

리소스가 활성화 되어 있는지를 알려줍니다.
리소스를 활성화 시킨다는 것은 모니터링, 온라인, 오프라인 같은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처음 리소스를 생성하면 에이전트는 사용하지 않음(detached) 상태가 되어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는 리소스와 그룹 모두 시작 메뉴가 비활성화되어 리소스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사용자가 구성을 완료한 후에 리소스 메뉴에서 리소스 활성화 메뉴를 체크하면 에이전트는 리소스가 제대로 구성되어 있는지 감지(probing)하는 작업을 진행합니다.
정상적으로 구성되었다고 판단되면 리소스와 에이전트는 모두 오프라인 상태로 바뀝니다.

...

리소스가 종료된 후 혹은 실행되기 전에 추가적으로 실행할 것들을 등록할 수 있는 속성입니다.
배치 스크립트(batch script)를 생성한 후에 그 경로명을 입력하면 적용됩니다.
예를 들면 여러 개의 자식 프로세스(child processes)들을 생성하는 응용프로그램을 오프라인 명령으로 종료시켰지만, 자식 프로세스들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고 남아 있을 가능성이 있다면,
강제로 모두 종료 시킬 수 있는 스크립트 파일을 생성하여 이곳에 적용시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런 배치 스크립트는 엔지니어 혹은 관리자가 적절히 작성하여야 할 사항이며 MCCS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지는 않습니다.
이곳에서 실행된 스크립트는 MCCS 그룹이나 리소스 상태 변화에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그룹 온라인 중에 해당 리소스에 등록된 배치 스크립트가 실패하더라도 그룹의 온라인은 계속 진행하게 됩니다.

...

추가로 설정한 배치 스크립트를 수행할 때에 스크립트의 실행 시간을 제한합니다.
스크립트 실행 중에 돌발 상황으로 인하여 교착 상태나 또는 중지 상태에 빠져버리면 다른 리소스들을 제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런 상황을 방지합니다.
타임아웃이 발생하여 스크립트 실행이 실패하면 더 이상 진행하지 않고 관리자의 조치를 기다립니다.

...

왼쪽 뷰에서 그룹, 리소스 타입, 리소스를 선택하면 오른쪽에 리소스 상태가 나타납니다.
리소스를 선택했을 때는 노드간의 리소스 상태를 모두 보여줍니다.
리소스 상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온라인

리소스가 시작(running)된 상태입니다.

...

MCCS에서 리소스를 다루기 위한 명령은 관리 콘솔에서 왼쪽 뷰의 리소스를 선택한 후에 마우스의 오른쪽 클릭으로 생성된 팝업 화면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곳은 그룹을 선택한 후에 '리소스 의존성' 탭에서 해당 리소스에 마우스의 오른쪽을 클릭하면 리소스와 같은 팝업 화면을 생성시킬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콘솔의 메뉴 항목이나 툴 바 메뉴에서 명령을 내릴 수 있으며 CLI 로도 가능합니다.


리소스 활성화

명령어 앞에 체크 표시로 활성화 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속성창의 Enabled 값으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리소스가 비활성화된 경우에는 리소스 상태를 감시하지 않습니다.
활성화 명령이 실패하는 경우는 속성 값이 정확하지 못할 때입니다. 가령, 예를 들어 기본(혹은 복합) 응용프로그램에서 잘못된 경로명을 입력했을 경우에 온라인인지 또는 오프라인인지 모니터링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활성화에 실패하는 경우에는 속성값을 다시 한번 확인 해야 합니다.

...

Critical 속성을 말하며 명령어 앞에 체크 모양으로 Critical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이 값이 체크 되어 있을 경우, 해당 리소스에 장애가 발생하면 그룹이 다른 노드로 페일오버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병렬 그룹인 경우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수동감지

리소스 수동감지 명령이 전달되면 즉시 모니터링을 실행합니다.
에이전트는 모니터링 주기(Monitoring interval)에 맞춰 모니터링을 합니다.
따라서 속성 값의 변경이 있으면 바로 갱신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것을 수동으로 모니터링하여 속성값이 정확히 반영되었는지 바로 확인하고자 할 때에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시작

리소스를 온라인 시킵니다.
이 화면에는 온라인 시킬 노드를 선택하도록 노드별 서브 메뉴가 존재하는데 노드별 리소스 상태에 따라 서브 메뉴들이 활성화 혹은 비활성화 됩니다.
예를 들면, 페일오버 그룹은 임의의 노드에서 온라인인 경우에 시작 명령이 활성화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페일오버 그룹은 한 노드에서만 온라인이 되도록 정한 규칙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쪽이라도 온라인이 되어 있다면 해당 리소스의 시작 메뉴는 활성화 되지 못합니다.
하지만 병렬 모드 그룹은 온라인 상태가 아닌 곳이라면 모두 활성화가 됩니다.
일부 온라인 상태의 그룹에서도 페일오버 전용 그룹은 한 쪽 노드에서만 온라인 되어야 하므로 온라인 되어 있는 노드 쪽에서만 시작 명령이 가능합니다.
또한 장애가 발생한 리소스도 장애 표시를 제거하기 전까지는 시작 명령이 활성화되지 않습니다.
장애를 일으킨 원인이 아직 해결되지 않았음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이 외에 의존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리소스를 시작하게 될 때에 만약 자식 리소스가 존재한다면 자식 리소스부터 먼저 시작하게 됩니다.
자식 리소스에 의존하는 관계에서 자식 리소스가 온라인이 되지 못하면 부모 리소스도 온라인 시킬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시작 명령을 내릴 때에 자식 리소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자식 리소스부터 온라인 시켜서 시작 명령을 내린 리소스 단계까지 온라인이 됩니다.

 

종료

리소스를 오프라인 시킵니다.
시작 명령과 마찬가지로 노드를 선택할 수 있는 서브 메뉴가 존재하며 온라인 상태인 노드가 있어야만 활성화되는 명령입니다.
종료할 때에 주의할 점은 온라인 상태인 부모 리소스가 존재하는 경우 입니다.
부모 리소스는 종료 명령을 주기 위해 선택된 리소스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정상적인 경우라면 시작 명령의 역순으로 부모 리소스부터 종료 되어야 안전한 종료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MCCS에서는 종료 명령을 실행할 때에 온라인 상태인 부모 리소스가 존재한다면 부모 리소스부터 종료시킬 것인지를 확인하고 진행합니다.

...

리소스를 오프라인 시킬 때에 자기 이하의 모든 자식 리소스를 종료시킬 수 있는 명령입니다.
온라인 상태인 부모 리소스에 대한 처리는 일반 종료 명령과 같이 부모 리소스도 종료할 것인지 확인합니다.

...

장애가 발생한 리소스는 장애 표시를 남겨두고 관리자의 조치가 있기 전까지는 그 노드 내에서 해당 리소스를 시작할 수 없습니다.
다시 말해 관리자의 처리를 기다리는 상태로 남겨지게 되는데, 장애 해결을 한 후에 다시 MCCS 운영을 하기 위해서는 장애 표시를 제거해야 하며 이때에 이 명령을 사용합니다.
리소스 장애 표시 제거는 하나의 리소스만 해당되지만 그룹의 장애 표시 제거는 그룹 내의 모든 장애 표시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

새로운 리소스를 생성 할 때 필수 입력이 되어야 하는 속성 값을 매번 새로 입력하기가 번거롭습니다.
기존에 존재하는 리소스와 유사한 설정 값을 대부분 유지한 상태에서 리소스를 추가 하기 위해서는 관리 콘솔 화면에서 리소스 복사 및 붙여넣기 기능을 사용하여 손쉽게 리소스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리소스 복사의 대상은 개별 리소스이며, 붙여넣기의 대상은 해당 그룹 또는 타 그룹입니다.

Warning

리소스 붙여넣기의 속성값은 기본적으로 복사한 리소스의 속성값을 유지합니다.
따라서 붙여넣는 리소스의 속성을 상황에 맞게 변경해야 복사한 리소스의 속성과 중복되지 않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