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tion | |||||||||||||
---|---|---|---|---|---|---|---|---|---|---|---|---|---|
|
...
- 서비스 네트워크 장애는 장애가 발생한 부분을 MCCS 웹 콘솔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MCCS는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된 서버의 네트워크 케이블 단절 또는 특정 네트워크로의 Ping 타임아웃 발생 유무를 확인합니다.
- 네트워크 주소 리소스가 장애 원인이라면 사용자는 네트워크 스위치 또는 네트워크 카드부터 점검해야 합니다. 네트워크와 관련된 물리적인 부분들이 정상화 된 후에는 후에는 MCCS 웹 콘솔에서 "장애표시제거" 메뉴를 선택하여 장애 표시 항목을 제거 합니다. 이 때부터는 페일오버가 가능한 상태가 됩니다.
- 자동으로 장애표시를 제거하려면 그룹 소것ㅇ의 AutoFaultClearTime 에 0보다 큰 값을 설정하면 됩니다.
핫빗 네트워크 장애
핫빗은 노드 상호간의 상태를 동기화하고 장애 상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반드시 이중화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중화된 핫빗 네트워크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장애가 발생하면 장애 내용은 로그창에 표시 됩니다.
하지만 MCCS 웹 콘솔에는 아무런 변화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이것은 운영 서버와 대기 서버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것을 뜻합니다.
이 때, 운영 서버에 문제가 생겨 대기 서버로 페일오버 해야 할 상황이 발생하면 MCCS는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적인 핫빗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페일오버를 진행하게 됩니다.
만일 이중화된 핫빗 모두가 단절된 상황이라면 MCCS는 서비스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핫빗 통신을 하게 됩니다.[그림] 핫빗 장애 발생 화면
...
- MCCS 웹 콘솔에서 메뉴바의 '파일'을 클릭하여 서포트 파일을 수집할 수 있습니다.
[그림] 메뉴바에서 서포트 파일 수집 - MCCS의 툴바 아이콘을 클릭하면 서포트 파일을 수집할 수 있습니다.
[그림] 툴바에서 서포트 파일 수집 - 서포트 파일을 수집할 노드의 선택과 이전에 받은 서포트파일을 다시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림] 서포트 파일 노드 선택 및 이전 서포트 파일 선택 여부 확인 버튼을 누르면 서포트 파일을 수집합니다.
[그림] 서포트 파일 수집 중 화면Info 로그파일의 용량과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서 몇 분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 아래와 같이 다운로드 창이 열리게 되고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 수집된 서포트 파일은 지정된 위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림] 서포트 파일 수집 확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