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tion | ||||||||||||
---|---|---|---|---|---|---|---|---|---|---|---|---|
|
노드
|
노드속성
노드의 속성은 노드의 속성 뷰에서 파악할 수 있습니다.
MCCS 콘솔의 노드 관리 뷰에서 노드 선택 후 오른쪽의 '속성값' 탭의 상세 정보를 볼수 있습니다.
회색으로 표기된 값은 읽기 전용입니다. 이 값들은 그룹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입니다.
흰색으로 표기된 값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수정가능한 값입니다. 아래에 일부가 설명되어 있습니다.
...
속성 | 설명 | 타입 | 기본값 | 수정 | 비고 |
BootMode | MCCS 서비스가 설정된 BootMode로 시작했는지 여부를 나타냅니다. | BOOLEAN | X | ||
ExpirationDate | 라이선스 유료기간을 나타냅니다. | STRING | |||
HostID | HostID를 나타냅니다. | STRING | X | ||
IsolationTestAddress | Isolation을 테스트할 IP를 입력합니다. 신뢰할 수 있는 IP 주소를 입력합니다. 2개 이상을 입력할 때는 콤마(,)로 구분합니다. IP 주소를 입력하지 않으면 고립 환경을 구분할 수 없습니다. | IP ADDRESS | O | ||
LicenseType | 노드에 입력된 라이선스 타입을 나타냅니다. | STRING | X | ||
NodeName | 노드 이름을 나타냅니다. | NAME |
| X | |
NodeState | 노드 상태를 나타냅니다. | STRING |
| X | |
PrimaryHB | MCCS 설정된 Primary 핫빗 주소를 나타냅니다. | IP ADDRESS |
| X | |
PrimaryHBStatus | 설정된 Primary 핫빗 상태를 나타냅니다. | IP ADDRESS | X | ||
SecondaryHB | MCCS 설정된 Secondary 핫빗 주소를 나타냅니다. | IP ADDRESS |
| X | |
SecondaryHBStatus | 설정된 Secondary 핫빗 상태를 나타냅니다. | IP ADDRESS | X | ||
StandAlone | StandAlone 작동 여부를 나타냅니다. | BOOLEAN | false | X |
MCCS 동작 원리
MCCS는 핫빗 통신을 통해 노드들을 하나의 클러스터로 연결해서 구성합니다. 클러스터
클러스터 동작은 노드 상태와 역할에 따라 결정되며, 노드 상태는 시스템뿐만 아니라 MCCS의 동작과 핫빗 통신 상태에 따라 결정됩니다.
다음은 클러스터 모드에서 가능한 노드 상태입니다.
...
핫빗은 노드 상호간의 상태를 동기화하고 장애 상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시스템이 운영중인 상황에서는 언제나 통신이 가능한 상태임을 보장하기 위해 반드시 이중화되어야 합니다.
또한 네트워크 고립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핫빗 네트워크 중에서 하나는 서비스 네트워크 또는 클러스터 노드 외의 노드와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로 반드시 설정해야 합니다.
...
모든 핫빗 통신이 일정 시간 단절될 경우는 해당 노드를 장애 상태로 판정합니다.
핫빗 통신 단절에 대한 최종 판정은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테스트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각각의 핫빗 네트워크가 단절된 시간이 지정 시간을 초과할 경우는 원격 노드의 장애, 분열, 고립으로 판정합니다.
...
모든 핫빗 통신이 단절되면 상호간에 상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방법을 잃게 됩니다.
이 경우에 MCCS가 상대 노드를 장애로 판단할 것인지 아니면 단지 상호간의 네트워크 통신만 단절된 상태로 판단할 것인지에 따라 서비스 복구 여부가 결정됩니다.
...
핫빗 네트워크의 단절이 클러스터 속성에 정의되어 있는 일정 시간 간격 이상의 시간차로 발생할 경우는 노드 장애 보다는 핫빗 네트워크 전체에 대한 불안정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핫빗에 의한 노드 상태를 신뢰할 수 없는 상황으로 판단하여, 시스템 장애로 감지 하지 않고 현재 상태를 유지 합니다.
핫빗 통신이 다시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클러스터내의 노드의 MCCS 서비스를 재시작하고 RUNNING 상태로 복귀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INITING 상태에서 핫빗 통신이 정상화될 때까지 대기하게 됩니다.
...
일정 시간 내에 모든 핫빗이 단절된 경우라도 상대 노드를 장애로 판단하기 전에 먼저 로컬 노드 자신이 모든 네트워크로부터 단절된 상황인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만일 게이트웨이 혹는 DNS 서버와 같이 공인된 네트워크 지점과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라면 로컬 노드 자신은 단절된 상황은 아니며, 상대 노드가 장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대 노드에서 운영중인 서비스의 복구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대 노드가 로컬 노드의 상황을 고립으로 판단합니다.
상대 노드는 로컬 노드를 장애 상태로 결정하고, 로컬에서 운영중인 서비스에 대한 복구를 시도하기 때문에, 로컬 노드는 가능한 빨리 운영중인 서비스를 종료해야 합니다.
...
일정 시간 내에 모든 핫빗이 단절된 경우이며 자신이 고립상태가 아니라는 판정이 난 경우에 해당합니다.
로컬 노드가 서비스를 운영중인 경우에는 자신의 상태를 유지하며, 원격 노드에서 구성된 서비스 중에서 운영되지 않는(OFFLINE) 서비스를 기동(ONLINE)시킵니다.
...
testNode-1 노드의 서포트 파일을 /root/Desktop/mantech 에 다운로드 받습니다.
(-all 입력시 노드 전체에 대하여 서포트파일을 생성 후 다운로드 합니다.)
Code Block |
---|
mcnode -u admin -pw password -supprot [-n TestNode-1 (-all)] -p /root/Desktop/mantech |
list
노드의 속성 리스트를 보여줍니다.
(noname 입력시 입력한 해당 노드에 대한 속성 값만 출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