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rsions Compared

Key

  • This line was added.
  • This line was removed.
  • Formatting was changed.

...

[그림] 그룹 시작/종료시 의존 관계에 있는 리소스들의 온라인/오프라인 순서

의존성 구성

...


Dependency Configuration

define this dependency among resources, configure this link in the ‘Resource Dependency’ view.

[그림] 의존 관계 화면Figure] Dependency relationship


MCCS에서는 이런 리소스들간의 의존 관계를 계층적인 트리 형태로 간단히 구성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위의 화면을 통하여 리소스들 간에 의존 관계를 알 수 있습니다. 부모인 네트워크주소 리소스는 그의 자식 리소스인 네트워크카드 리소스에 의존하며, 부모인 복합응용 리소스와 기본응용 리소스는 그의 자식 리소스인 네트워크주소 리소스에 의존합니다. 
MCCS는 그룹 단위로 페일오버를 진행합니다. 따라서 그룹 내의 모든 리소스들을 서로 의존 관계로 연결하고 하나의 그룹으로 구성해서 실행이 되어야 의미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리소스 2개를 부모 자식으로 의존 관계를 설정하면 상하 2 단계의 레벨로 볼 수 있으며, 최대 레벨은 그룹 속성의 'MaxDependencyLevel' 값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link 설정

[그림] Link 설정 화면


위의 화면에서 기본응용 리소스(부모)와 네트워크주소 리소스(자식) 간에 링크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네트워크주소 리소스(자식)는 기본응용 리소스(부모)에 의존하는 리소스입니다.

  1. 그룹 관계 에디터 화면을 선택합니다.
  2. 오른쪽 Palette 화면에서 '의존성 생성'를 선택합니다.
  3. 마우스 커서가 link 할 수 있는 모양으로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기본응용 리소스)를 선택한 후 자식 리소스(네트워크주소 리소스)를 선택하면 link설정이 완료됩니다.

 

Warning

link 설정을 할 때, 먼저 선택하는 리소스가 부모 리소스가 되며 다음에 선택하는 리소스가 자식 리소스가 됩니다 For linking process, first selected resource is parent resource and the one selected later is the child resource.


 

...

Dependency Removal

 

[그림] Unlink 설정 화면

 


  1. 의존 관계를 제거할 때는 팔레트에서 '선택'을 선택합니다.
  2. 제거할 link를 선택합니다.
  3. 선택한 link는 리소스의 양 끝점에 큰 포인트가 생기면서 선택된 상태임을 알려줍니다.
  4. 선택된 link에서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하여 팝업 화면에서 '의존성 삭제'를 선택합니다.

 

 

 

기본적인 구성 시나리오

 

...

Basic Dependency Cases among resources

 Following are the general cases of dependency.

 

네트워크 카드 리소스, 네트워크주소 리소스

 

  네트워크주소 네트워크주소 리소스에서 IP를 할당하기 위해서는 먼저 물리적인 네트워크 카드가 필요합니다. 네트워크 카드 없이 IP 할당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네트워크 카드 리소스를 자식으로 네트워크주소 리소스를 부모로 하는 의존 관계를 설정하면, 네트워크주소 리소스를 온라인 시도할 때 먼저 네트워크 카드가 정상적인 상태인지 확인합니다. 

...

디스크 리소스, 네트워크주소 리소스, 복합응용 리소스 (ex: 데이터베이스)

...

많은 응용프로그램들은 디스크(혹은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기록합니다. 따라서 응용프로그램들은 디스크에 의존하는 형태로 관계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데이터베이스의 경우는 데이터를 기록할 디스크를 지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는 디스크에 의존하도록 데이터베이스를 부모로 디스크를 자식으로 의존 관계를 설정합니다.
클라이언트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 할 수 있는 IP 주소가 필요하다면 네크워크주소를 자식으로 데이터베이스를 부모로 의존 관계를 설정합니다.
이 의존 관계를 바탕으로 MCCS에서는 그룹을 온라인 할 때, IP와 디스크 마운트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었는지 확인한 후에 데이터베이스를 구동시킵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는 네트워크주소 리소스, 디스크 리소스를 모두 의존하는 관계로 설정되어야 합니다.
지금까지의 관계로 의존성을 구성해보면 다음과 같은 형태가 됩니다.

 



 

[그림Figure] 의존 관계도  Dependency of database application

 

 

 

의존성에 따른 동작

그룹의 시작/종료 순서는 의존성에 따라 온라인은 아래부터 위로, 오프라인은 위부터 아래로 진행됩니다.
그럼 실제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 리소스 속성을 고려한 진행 순서에 대해 몇 가지 경우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먼저, 리소스 속성과 진행 상태를 다음과 같이 그림으로 미리 정의해 놓았습니다.

Image Removed

 

[그림] 리소스 상태 정보 표시도

 

Critical 속성

 

  • critical 리소스보다하위에서장애발생
    Image Removed

[그림] 장애 발생 예 1

...

Actions due to dependency

Online/Offline of the group is performed from bottom to top according to the dependency in case of online, and from top to bottom in case of offline.
Following are a few examples how MCCS manages the resources after dependency link among the resources when a resource is failed. 
Attributes and state of resources are defined as the figure below.

Image Added

[Figure] Resource State Information Charts

Critical Attributes

  • Failure occurs from a resource on which critical resource depend.
    Image Added

[FigureExample of Failure Occur 1

  1. As a failure is occurred at resource r2, resource r1 will be taken offline. (Since resource r1 depends on resource r2 which is failed, resource r1 may cannot be online properly.)
  2. Since resource r1 has critical attribute, resource r3 and a4 will be taken offline in order to failover the group.
  3. As a result, resource r2 is considered as failure and all resources in the group will be taken offline


 

  • critical이 아닌 리소스

[그림] 장애 발생 예 2

 

  1. a1 리소스가 critical 이 아닌 경우에 온라인 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2. a2 리소스에서 장애가 발생하여 a1 리소스를 종료합니다.
  3. a1 리소스는 critical 이 아니므로 그룹 전체를 페일오버 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현재 진행된 상태에서 멈춥니다.

 Figure] Example of Failure Occur 2

  1. Resource r1 which is not critical is online status.
  2. When resource r2 get failed, resource r1 will be taken offline because it dependent on resource r2.
  3. As r1 resource is not critical, group failover will be not performed. Therefore, the group will be partial online status.

 

RestartLimit 속성

 

'RestartLimit'는 리소스 타입에 있는 속성으로 최종 장애로 판단하기 전에 몇 번까지 복구할 것인지 결정하는 값입니다.

 

(상세한 내용은 "6. 리소스 타입"  편을 참조해 주십시오RestartLimit is an attribute of the resource type. This value determines how many times the recovery will be attempted until it is finally confirmed that it is failure. 

(Please refer to "6. Resource Type" for more details.)

 

[그림] 장애 발생 예 3

 

...

Figure] Example of Failure Occur 3

  1. On the assumption that the value of RestartLimit is 1 for resource r2, the first failure has occurred.
  2. MCCS will bring online resource r2 again as the value of RestartLimit. 
    At this time, resource r1 which depends on resource r2 will be taken offline.
  3. resource r2 restart.
  4. resource r1 online.
  5. When another failure occurs on resource r2, all of the resource will be taken offline from resource r1 to r3 by order.
  6. Resource r3 will be taken offline.
  7. As a result, resource r2 is considered as failure and all resources in the group is offline status in the n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