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버의 정상 혹은 비정상 종료에 따른 MCCS의 역할에는 차이점이 없습니다. MCCS는 운영 서버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대기 서버로 페일오버를 진행합니다.
화면의 오른쪽에 있는 노드 관리에서 해당 서버를 선택하면 '리소스 상태' 및 '리소스 의존성' 화면을 통하여 장애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상 종료 사용자가 운영체제에서 '시스템 종료'를 선택한 경우를 말합니다.
- 비정상 종료 블루스크린 또는 예기치 않은 상황으로 인해 시스템 종료 혹은 재부팅 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그림] 운영 서버 장애 발생 화면 - 서버 장애로 인해 데이터를 복제 할 수 없기 때문에 미러 디스크 리소스 부분 에 표시가 생깁니다.
- 서버 운영자는 장애를 발생시킨 부분을 확인하여 서버를 정상화 시켜야 합니다.
- 장애가 발생한 서버가 다시 부팅이 되면 MCCS는 두 서버간의 상호 미러 역할을 확인 후 장애가 발생한 서버를 복제 타깃으로 설정하고 부분 동기화를 진행합니다.
대기 서버 장애
- 대기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면 MCCS는 해당 서버에 장애 발생을 표시합니다.
- 대기 서버가 정상화 되기 전까지 데이터 복제를 잠시 중단합니다.
[그림] 대기 서버 장애 발생 화면 - I/O가 계속 발생된다면 데이터 동기화가 불가능해지고 미러 디스크가 'Pause네트워크 연결 실패' 상태(아이콘 표시 변경 )가 됩니다.만일, I/O 발생이 없다면 미러 디스크의 아이콘 부분에 아무런 변화가 나타나지 않지만 MCCS 로그 창에는 미러 디스크 관련 장애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 대기 서버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운영상에는 문제가 없지만 페일오버할 대상이 없으므로 서버 운영자는 반드시 MCCS 웹 콘솔을 통하여 장애를 확인하고 대기 서버를 정상화 시켜야 합니다.
- 대기 서버가 다시 정상으로 돌아되면 'Pause' 에서 'Normal' 상태로 복구되면서 , 아이콘이 사라집니다.
- 미러디스크의 DiskState 상태 값은 'Inconsistent' 에서 'UpToDate' 상태로 변경되기 위해, 데이타 동기화()를 진행합니다.
- 동기화가 완료가 되면, 현재 정상 데이터가 실시간 동기화되고 있다()는 상태로 변경됩니다.
응용프로그램 장애
운영중인 응용프로그램 리소스에 대하여 MCCS는 다음과 같은 4가지 요소에 의해 동작을 하게 됩니다.
- MonitorInterval (기본값=10초)
설정된 값을 주기로 리소스를 감시합니다. - MonitorTimeout (기본값=10초)
설정된 값 만큼 응답이 오지 않으면 장애로 판단합니다. - RestartLimit (기본값=0)
설정된 값만큼 해당 응용프로그램 리소스를 재시작합니다. - OnlieTrustTime (기본값=600초)
리소스 재시작 횟수를 재설정하는 시간입니다.
위의 속성값들은 해당 리소스를 등록할 때 설정된 값이고, 사용자는 각 리소스의 속성 페이지를 통하여 값을 수정하거나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림] 리소스 속성값 수정 화면
- MCCS는 MonitorInterval에 의해서 해당 리소스를 감시합니다.
- MonitorTimeout에 설정된 시간만큼 응답이 없으면 해당 리소스가 장애라고 판단합니다.
- RestartLimit에 설정된 횟수만큼 해당 리소스에 재시작 명령을 내려도 응답이 없으면 MCCS는 그 리소스가 속해 있는 그룹을 페일오버합니다.
- 리소스가 OnlineTrustTime에 정의되어 있는 시간 동안 정상 상태를 유지하면 MCCS는 RestartLimit의 속성값을 초기화 합니다. 왜냐하면 리소스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에 재시작 횟수를 보장하기 위해서입니다.
- 응용프로그램 장애로 인해 페일오버가 되었다면 서버 운영자는 장애를 발생시킨 부분을 확인하여 정상화 시켜야 합니다.
- 장애가 발생한 부분은 MCCS 웹 콘솔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장애가 발생한 부분을 사용자가 확인한 후에 장애 표시를 제거해 주어야 다시 페일오버 기능이 활성화됩니다.
자동으로 장애 표시를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그룹 속성의 AutoFaultClearTime에 0보다 큰 값을 설정하면 됩니다. - 장애가 발생한 서버가 다시 부팅이 되면 MCCS는 두 서버간의 상호 미러 역할을 확인한 후에 장애가 발생한 서버를 복제 타깃으로 설정하고 동기화를 진행합니다.
[그림] 리소스 장애 표시 제거 화면
네트워크 장애
...
Warning |
---|
※ MCCS 라이선스는 MAC 어드레스를 참조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카드가 변경되면 라이선스를 재발급 받아야 합니다. |
서비스 네트워크 장애
운영 서버에서 서비스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하면 MCCS
웹 콘솔의 네트워크 주소 또는 네트워크 카드 리소스부분에 장애 표시가 되고 대기 서버로 페일오버를 진행합니다.
[그림] 네트워크 카드 장애 표시 화면
- 서비스 네트워크 장애는 장애가 발생한 부분을 MCCS UI 창에서 MCCS 웹 콘솔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MCCS는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된 서버의 네트워크 케이블 단절 또는 특정 네트워크로의 Ping 타임아웃 발생 유무를 확인합니다.
- 네트워크 주소 리소스가 장애 원인이라면 사용자는 네트워크 스위치 또는 네트워크 카드부터 점검해야 합니다. 네트워크와 관련된 물리적인 부분들이 정상화 된 후에는 MCCS 콘솔에서 '"장애표시제거' " 메뉴를 선택하여 장애 표시 항목을 제거합니다제거 합니다. 이 때부터는 페일오버가 가능한 상태가 됩니다.
- 자동으로 장애 표시를 장애표시를 제거하려면 그룹 속성의 AutoFaultClearTime에 소것ㅇ의 AutoFaultClearTime 에 0보다 큰 값을 설정하면 됩니다.
핫빗 네트워크 장애
핫빗은 노드 상호간의 상태를 동기화하고 장애 상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반드시 이중화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중화된 핫빗 네트워크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장애가 발생하면 장애 내용은 로그창에 표시 됩니다.
하지만 MCCS
GUI 부분에는웹 콘솔에는 아무런 변화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이것은 운영 서버와 대기 서버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것을 뜻합니다.
이 때, 운영 서버에 문제가 생겨 대기 서버로 페일오버 해야 할 상황이 발생하면 MCCS는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적인 핫빗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페일오버를 진행하게 됩니다.
만일 이중화된 핫빗 모두가 단절된 상황이라면 MCCS는 서비스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핫빗 통신을 하게 됩니다.
[그림] 핫빗 장애 발생 화면
- 핫빗 장애는 MCCS 로그, 윈도우 시스템 로그에서 장애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핫빗 장애가 발생하면 서버 관리자는 서버의 TCP/IP, 물리적인 연결 상태 및 ping 테스트를 통해 핫빗이 정상적인 상태인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 만약 비정상적인 상황이라면 카드 불량, 케이블 연결 불량 혹은 케이블 단선 등을 확인하고 장애 원인을 제거해야 합니다.
복제 네트워크 장애
복제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하면 데이터 복제를 진행할 수 없으며, MCCS 웹 콘솔의 미러 디스크 리소스 부분이 '
Disconnect' 상태()로 표시 됩니다.
- 복제 네트워크 장애는 MCCS 로그, 윈도우 시스템 로그에서 OS 로그에서 장애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복제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하면 서버 관리자는 서버의 TCP/IP, 물리적인 연결상태 및 ping 테스트를 통해 복제 네트워크가 정상적인 상태인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 만약 비정상적인 상황이라면 카드 불량, 케이블 연결 불량 혹은 케이블 단선 등을 확인하고 장애 원인을 제거해야 합니다.
단일 네트워크 스위치 장애
단일 네트워크 스위치로 구성된 환경에서 Public Network에 연결된 네트워크 스위치에 장애가 발생하면 운영 서버 및 대기 서버의 모든 그룹 리소스가 오프라인이 되며, 장애가 발생한 리소스는 '장애' 상태로 표시 됩니다.
[그림] 네트워크 스위치 장애 발생 화면
- 네트워크 스위치 장애는 MCCS 로그, 윈도우 OS 시스템 로그에서 장애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버 관리자는 케이블 연결 상태 및 ping 테스트를 통해 해당 네트워크 스위치 상태 및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장애 원인을 제거해야 합니다. - 자동으로 장애 표시를 제거하려면 그룹 속성의 AutoFaultClearTime에 0보다 큰 값을 설정하면 됩니다.
- 네트워크 스위치 장애에 대한 복구는 해당 제조사를 통하여 지원 받으시기 바랍니다.
...
소스 디스크 장애
운영 서버의 미러 디스크 리소스에 장애가 발생하면 MCCS GUI에 웹 콘솔에 장애가 표시됩니다. MCCS는 해당 디스크에 Read/Write가 불가능한 상황이므로 장애로 인식하여 대기 서버로 페일오버를 진행합니다.
[그림] 미러 디스크 장애 발생 화면
...
- 타깃 디스크 장애
대기 서버의 디스크에 장애가 발생하면 MCCS 웹 콘솔의 디스크 리소스 아이콘에 'Pause'가 표시됩니다아이콘은 변화가 없고, Diskstate 의 속성 값이 UptoDate에서 Diskless 로 변경 됩니다. 그러나 소스 서버에서 운영중인 서비스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그림] 타깃 디스크 장애 발생 화면
- MCCS에서 타깃 디스크에 대한 장애 감지는 해당 디스크의 드라이브 문자가 있는지 없는지 만을 판단합니다.DiskState 상태에 대한 값만을 출력합니다.
- 디스크 장애 발생 요인은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위의 문제가 해결 된 후에 운영 체제는 변경된 디스크를 다시 인식합니다.이후 DRBD에서 동기화를 진행합니다.
- 디스크 컨트롤러 문제 하드웨어 자체 문제는 해당 업체에서 해결해야 합니다.
- 물리적인 디스크 문제 하드웨어 자체 문제는 해당 업체에서 해결해야 합니다.
- 미러 리소스에서 에서 동기화가 진행되지 않으면 미러디스크 리소스를 삭제한 후에 다시 생성시도합니다. 단, 삭제시 리소스만 삭제가 아니라 생성된 미러까지 삭제 하고 다시 생성해야 합니다.
...
- 소스 서버(A) 장애로 인해 페일오버가 발생합니다.MCCS에서 dradm 명령을 실행합니다.
- 기존 소스 볼륨이 삭제되지 않고 타깃 서버(B)의 역할이 소스로 Primary 로 변경됩니다. (미러 디스크 역할 변경)
- 최초의 소스 서버(A)를 재부팅합니다.
- 최초의 소스 서버(A)가 부팅된 후에 타깃 서버(B)의 역할을 확인합니다.
- 타깃 서버(B)가 소스이면 최초의 소스 서버(A)는 이미 정상적으로 페일오버 되었다고 판단하고 자신을 타깃으로 변경합니다.
- 미러 네트워크 이상 또는 다른 오류로 인하여 부팅 시점에 이 역할을 확인할 수 없게 됩니다GI 값을 확인 합니다. .
- GI 데이터의 값이 일치유무를 확인하고 일치한다면 자동으로 데이터 동기화를 진행합니다. (5, 6번 과정 확인 실패)
- 양 서버의 미러 역할이 모두 소스가 됩니다. GI 데이터 값이 불일치 하여 어느한쪽 노드를 기준으로 동기화가 필요하여 동기화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Split Brain 발생)
이러한 상태가 되면 MCCS 콘솔상에서 웹 콘솔에서 미러 디스크 리소스의 아이콘 표시가 겹쳐서 나타나며, ConnectState 속성값이 두 서버에 대해 모두 'StandAlone'로 표시됩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미러 디스크 역할을 수동으로 변경해야 하며, 변경한 후에는 재동기화 과정이 발생합니다.
미러 디스크 역할을 수동으로 변경하는 방법은 MCCS 콘솔을 웹 콘솔을 이용하면 됩니다.
MCCS 웹 콘솔을 사용해서 스플릿브레인을 해결하는 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