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rsions Compared

Key

  • This line was added.
  • This line was removed.
  • Formatting was changed.

...

  1. 대기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면 MCCS는 해당 서버에 장애 발생을 표시합니다.
  2. 대기 서버가 정상화 되기 전까지 데이터 복제를 잠시 중단합니다.

    [그림] 대기 서버 장애 발생 화면

  3. I/O가 계속 발생된다면 데이터 동기화가 불가능해지고 미러 디스크가 'Pause' 상태(아이콘 표시 변경)가 됩니다.
  4. 만일, I/O 발생이 없다면 미러 디스크의 아이콘 부분에 아무런 변화가 나타나지 않지만 MCCS 로그 창에는 미러 디스크 관련 장애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5. 대기 서버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운영상에는 문제가 없지만 페일오버할 대상이 없으므로 서버 운영자는 반드시 MCCS UI를 통하여 웹 콘솔을 통하여 장애를 확인하고 대기 서버를 정상화 시켜야 합니다.
  6. 대기 서버가 다시 정상으로 돌아되면 'Pause'  에서 'Normal' 상태로 복구되면서  아이콘이 사라집니다.

...

  1. 서비스 네트워크 장애는 장애가 발생한 부분을 MCCS UI 창에서 웹 콘솔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MCCS는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된 서버의 네트워크 케이블 단절 또는 특정 네트워크로의 Ping 타임아웃 발생 유무를 확인합니다.
  3. 네트워크 주소 리소스가 장애 원인이라면 사용자는 네트워크 스위치 또는 네트워크 카드부터 점검해야 합니다. 네트워크와 관련된 물리적인 부분들이 정상화 된 후에는 MCCS 콘솔에서 '장애표시제거' 메뉴를 선택하여 장애 표시 항목을 제거합니다. 이 때부터는 페일오버가 가능한 상태가 됩니다.
  4. 자동으로 장애 표시를 제거하려면 그룹 속성의 AutoFaultClearTime에 0보다 큰 값을 설정하면 됩니다. 

...

    • 미러 디스크 리소스의 Split Brain

       매우 드문 경우이지만 두 서버상에서 미러 디스크 역할이 모두 소스로 인식되는 경우입니다.
      이러한 상황은 타깃이 소스로 변경되는 시점에 기존 소스가 타깃으로 변경되지 못한 결과이며, 이 때는 서로 자신의 데이터를 동기화하려 하지만 데이터를 받는 상대 서버 역시 자신이 소스 서버인 상태이므로 역할 변경을 거부하게 됩니다.
      미러 디스크에서 Split Brain이 발생하는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소스 서버(A) 장애로 인해 페일오버가 발생합니다.
  2. MCCS에서 SWITCHOVERVOLUME 명령을 실행합니다.
  3. 기존 소스 볼륨이 삭제되지 않고 타깃 서버(B)의 역할이 소스로 변경됩니다. (미러 디스크 역할 변경)
  4. 최초의 소스 서버(A)를 재부팅합니다.
  5. 최초의 소스 서버(A)가 부팅된 후에 타깃 서버(B)의 역할을 확인합니다.
  6. 타깃 서버(B)가 소스이면 최초의 소스 서버(A)는 이미 정상적으로 페일오버 되었다고 판단하고 자신을 타깃으로 변경합니다.
  7. 미러 네트워크 이상 또는 다른 오류로 인하여 부팅 시점에 이 역할을 확인할 수 없게 됩니다. (5, 6번 과정 확인 실패)
  8. 양 서버의 미러 역할이 모두 소스가 됩니다. (Split Brain 발생)

    이러한 상태가 되면 MCCS 콘솔상에서 미러 디스크 리소스의 아이콘 표시가 겹쳐서 나타나며, MirrorRole 속성값이 두 서버에 대해 모두 'Source'로 표시됩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미러 디스크 역할을 수동으로 변경해야 하며, 변경한 후에는 재동기화 과정이 발생합니다.
    미러 디스크 역할을 수동으로 변경하는 방법은 MCCS 콘솔을 이용하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