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rsions Compared

Key

  • This line was added.
  • This line was removed.
  • Formatting was changed.

...

Code Block
resource r0 {
    //net { 
    //  protocol C;
    //}

	device	e minor 2;
	disk	e;
	meta-disk f;

	on store1 {
		address   10.1.10.1:7100;
		node-id   0;
	}
	on store2 {
		address   10.1.10.2:7100;
		node-id   1;
	}
	on store3 {
		address   10.1.10.3:7100;
		node-id   2;
	}
	
	connection-mesh {
		hosts     store1 store2 store3;
  	}
}

...

원격 재해복구(DR)

WAN 구간을 통한 재해복구 복제 구성으로 비동기 프로토콜을 기본으로 사용하고 버퍼링을 위한 송신버퍼 설정과 버퍼가 혼잡해졌을 경우의 상황을 대비하기 위한 모드를 설정해야 합니다. 혼잡모드와 관련한 더 자세한 사항은 혼잡 모드 부분을 참고하세요.

...

또한 복제 가속기(DRX)를 연동 할 경우 복제 처리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로컬 미러 & 원격 재해복구(MDR)

로컬 네트워크의 미러링 구성과 WAN 구간 원격 재해복구 복제의 혼합 구성입니다. 로컬 미러는 동기방식으로 WAN 원격 복제는 비동기 방식으로 혼합하여 구성합니다. WAN 구간 복제는 송신버퍼와 혼잡모드를 설정해야 하고 복제 가속기(DRX)의 연동을 권장합니다.

Code Block
resource r0 {

	volume 0 {
		device    e  minor 2;
		disk      e;
		meta-disk f;
	}

  	on store1 {
		node-id   1; // Active
  	}

  	on store2 {
		node-id   2; // Standby
  	}
  	on store3 {
		node-id   3; // DR
  	}


	connection {
		net {
			protocol c; 
		}
		host store1 address 10.10.0.240:7789; // Active
		host store2 address 10.10.0.241:7789; // Standby
	}
	connection {
		net {
			protocol A;
		    sndbuf-size 1G;
            on-congestion pull-ahead;
            congestion-fill 900M;
		}
		host store2 address 10.10.0.241:7789; // Standby
		host store3 address 20.20.0.253:7789; // DR
	}
	connection { 
		net {
			protocol A;
		    sndbuf-size 1G;
            on-congestion pull-ahead;
            congestion-fill 900M;
		}
		host store1 address 10.10.0.240:7789; // Active
		host store3 address 20.20.0.253:7789; // DR
	}
}

공유 디스크 & 원격 재해복구(SDR)

주 운영사이트의 공유디스크를 소스로 하고 타깃을 재해복구 노드로 구성하여 WAN 구간을 통해 복제하는 방식입니다. 주 사이트의 공유디스크에 접근하는 2 노드는 Active/Standby 로 구성하며 DR 노드를 제2의 Standby 노드로 구성합니다. Active-Standby 노드는 동일 가상 IP 주소(VIP)로 설정하여 리소스 기동을 노드 간 상호배제하여 운영하고 DR 측 노드는 이 VIP 로 통신하여 Active/Standby 노드의 데이터를 수신합니다.

...

리소스 작성

리소스 작성은 위에서 언급한 구성요소들을 구성파일에 기술하는 과정입니다구성파일로 만드는 것 입니다. 즉, 노드(호스트) 정보와 볼륨, 연결 정보를 정해진 구역(섹션)내에서 속성에 맞는 키워드들을 통해 구성파일에 기술하면 됩니다.

bsr의 모든 구성 파일은 설치경로의 하위 etc 디렉터리에 위치하고 bsr 명령어들은 기본적으로 유틸리티들은 해당 경로에서 구성파일을 로드합니다.

먼저 etc 디렉터리에서 bsr.conf를 생성합니다. bsr.conf 파일의 일반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우선 관례적으로 bsr의 전역(global), 공통(common) 섹션을 /etc/bsr.d/global_common.conf 파일에서 기술합니다작성합니다. 그리고 모든 .res 파일들을 포함(include)하도록 하여 리소스 별로 구성파일을 파일을 분리해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하는 체계를 권장합니다.

몇 가지 약속된 구역을 기준으로 속성을 기술하는데 이 구역을 섹션이라고 합니다. 섹션은 최상위 구역으로 Global, Common, Resource 섹션이 있으며, 각 섹션내에서 속셩 별 하위 섹션들이 있습니다. 여기서는 주요한 섹션과 일부 기본적인 속성에 대해서만 설명합니다. 구성파일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부록의 구성파일을 참고하세요.

...

Note
  • 리눅스 DRBD 에서 구현하고 있는 I/O 재지정(redirection)은 bsr 에서 제거되었습니다. 따라서 기존 DRBD 의 diskless 모드는 지원하지 않습니다.(단지, 볼륨이 detach 된 상태의 diskless 상태만 정의됩니다.)

  • diskless 모드가 제거됨에 따라 로컬의 읽기 I/O도 기본 bypass 하도록 처리됩니다. 읽기 I/O 또한 재지정되지 재 지정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