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nel | ||||
---|---|---|---|---|
이 장에서는 시스템 메인메뉴를 사용하여 복잡하고 방대한 시스템들을 구성하여 필요에 맞게 구성한 모니터링을 통해 합리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이 장에서 제공하는 설명들을 분류하면 크게 다음과 같습니다.
|
위 내용에서 묘사하는 대로, 보통 시스템 구성관리와 관련한 기능들은 시스템 단위(unit)별로 작업합니다. 그러므로 이 제품에서 사용하는 시스템 단위에 대해서 먼저 익혀 두시고 작업을 시작하실 것을 권장합니다. 제품에서 정의하는 시스템 단위에 대한 개념을 익히고, 어느 시스템을 어떻게 배치하고 구성해서 사용할 것인지 미리 계획하여 작업하시면 업무의 효율도가 훨씬 더 높습니다.
...
Table of Contents | ||||
---|---|---|---|---|
|
시스템 단위에 대하여
이 제품에서 정의하는 시스템 단위는 크게 다음과 같습니다.
...
즉, 데이터센터나 그룹은 클러스터, 서버, 스토리지나 네트워크 등 모든 시스템 종류를 포함할 수 있는 집단 개념이며 일반적으로 회사명이나 부서명으로 사용자가 정의해서 사용합니다. 데이터센터(회사) 안에 그룹(부서)이 여러 개 있고, 그룹 하나 안에 클러스터나 시스템들이 여러 개 속하는 방법으로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입니다. 이 묶음에 대해서 도식화하자면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가장 복잡한 개념인 클러스터를 먼저 간단하게 설명하면, 이중화 작업을 위해서 각 서버(가상, 물리 모두 해당) 두 개를 하나의 리소스 그룹으로 묶어두고 페일오버를 주고 받도록 묶은 개념이 바로 클러스터 한 개입니다.
<그림 19> 시스템 단위에 대한 간단한 구성도
위 그림에서 묘사하듯이 그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서버에 통신이나 복제 등을 담당할 수 있도록 설치한 서비스가 에이전트이며, 각 서버나 클러스터 등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합니다. 서버의 저장 공간을 스토리지로 사용해서 미러 디스크나 공유 디스크로 정의하여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사용자가 필요에 맞게 물리서버나 가상서버를 서버나 스토리지, 네트워크와 같은 단독 단위로 정의해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구성할 수 있는 클러스터의 방법에 대하여
이 제품은 물리 머신(서버)과 가상 머신을 모두 지원하므로, 사용자는 본인의 필요에 맞도록 시스템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Tip | ||
---|---|---|
| ||
이 방법에 대해서는 HA 클러스터 생성하기를 참고하십시오. |
FT 클러스터에 대하여
이 제품은 무중단서버인 Stratuss®의 ftServer™의 접속 정보를 연결해서,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련 이벤트나 가용성에 대한 정보를 리포트로 조회하고 다운로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이 종류의 클러스터(FT 클러스터)에 대해서 PVM을 구성하거나 그 이외의 상세한 관리 기능은 제작사에서 제공하는 콘솔을 통해 작업하셔야 합니다.
구성해야 하는 시스템의 필수 조건
다음 그림은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성하기 위해서, 이 제품에 연결하기 전에 확인해 보아야 할 필수 조건을 확인하는 순서입니다. 해당 시스템을 제품에 등록하기 전에 다음 그림과 내용을 참고하여 제대로 동작하도록 작업해 두십시오.
<그림 20> 제품에 등록하기 전에 대상 시스템들에 대해 확인 작업해 두기
- 해당 서버에 접속해서, IP 주소나 도메인 주소가 올바른지 등을 확인하십시오.
- 서버의 계정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로그인이 잘 되는지도 확인하십시오. 제품에 등록할 때 사용할 계정 정보이므로 권한도 충분해야 합니다.
- 해당 서버의 "hosts" 파일에 제품이 설치되어 있는 관제서버의 IP 주소와 도메인 주소를 등록해 두십시오.
- 서버의 "hosts" 파일에 관제서버의 정보를 등록하셨다면, 핑이 잘 오가는지 확인해 보십시오.
먼저 확인할 시스템 구성 계획
위의 시스템 필수 조건을 잘 확인해 보신 후 다음 체크리스트를 채우시고, 해당 정보가 모두 준비되었으면 아래에서 열거한 순서대로 매뉴얼을 참고하여 작업하십시오.
구성요소 | 소스 시스템 | 타겟 시스템 | |
유효한 IP 주소 | 10.120.195.41 | 10.120.195.42 | |
해당 시스템의 성격 | 가상 시스템 | 가상 시스템 | |
해당 시스템의 운영체제 | Microsoft Windows Server 2012 (64-bit) | - | |
하이퍼바이저 | 버전 | VMware 5.1 | - |
매니징 서버 주소(IP나 호스트네임) | vcenterdev.mantech.co.kr | - | |
해당 하이퍼바이저의 계정 아이디 | administrator@vsphere.local | - | |
해당 하이퍼바이저의 계정 비밀번호 | secret | - | |
소속 호스트 | tw1.mantech.co.kr | - | |
접속 방법 | WinRM | - | |
접속 권한이 있는 계정 정보(아이디/비밀번호) | tw1/secret | - | |
클론 또는 공유로 구성하기 위한 장치 방식 | - | 클론으로 사용 | |
대상 데이터스토어 | 소속 호스트 | - | tw2.mantech.co.kr |
소속 호스트의 데이터스토어 | - | Dell_500gB_no_7 | |
관제서버로의 핑 여부 | 핑이 되어야 등록할 수 있음 | - | |
관제서버를 "hosts" 파일에 등록했는지 여부 | 미리 "hosts" 파일에 관제서버의 IP 주소와 도메인주소 등록해 두어야 함.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