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end of metadata
Go to start of metadata

You are viewing an old version of this content. View the current version.

Compare with Current View Version History

« Previous Version 11 Next »

이 장에서는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기 전에, 다음과 같이 제품 전반에 대해서 가장 기본적으로 숙지해 두어야 할 지식에 대해 설명합니다.

 

MCCS Enterprise









  오늘날의 기업들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데이터의 양과 질을 보존하기 위해서 방대하고 복잡한 시스템들을 보유하여 업무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자연재해와 같이 예상이 어렵고 치명적인 상황을 맞이하여 데이터 자원들을 손실하면 피해가 크므로, 시스템의 이중화와 재해복구 자동화의 중요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면서 동시에 이중화와 재해복구 자동화도 함께 관리하는 작업은 시간과 비용, 인력이 많이 필요하다는 특수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MCCS Enterprise는 이와 같이 데이터의 중요도가 높아서 장애에 대한 예방과 복구가 필수이면서 동시에 서비스의 연속성도 중요한 특성을 지닌 기업들을 위한 솔루션입니다.

제품의 기능

이 제품은 다음과 같은 주요기능을 제공하여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였습니다.

  • 모니터링: 사용자가 시스템 상황이나 재해복구 과정 등을 하나의 화면으로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능
  • 시스템 구성하기: 사용자가 시스템을 등록해 두고 이중화 구성을 해서 사용할 수도 있고 시스템의 과부하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는 기능
  • 재해복구 자동화: 사용자가 시스템 자산이나 기타 스크립트를 워크플로우로 등록해 두면 재해가 발생했을 때의 프로세스를 자동화해 두어 데이터를 복구하거나 보호할 수 있는 기능
  • 알림: 위의 시스템들이나 재해복구 자동화를 위한 프로세스들(워크플로우들)에 대해 이상이나 변동이 발생했을 때 문제가 커지기 전에 미리 알람을 받고 대응할 수 있도록 알람을 설정하거나 확인해서 처리할 수 있는 기능
  • 자료관리: 시스템 관리와 DRM 관리를 하는 담당자들이 필요한 의사결정이나 문의 사항, 자료를 편리하게 주고받을 수 있는 기능
  • 설정: 위의 기능들을 사용하는 것에 필요한 상세한 설정이나 기타 부가적인 지원 작업이 필요할 때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성 기능

<그림> 제품의 주요기능

아케텍처 및 구성 요소

MCCS Enterprise는 크게 다음과 같은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관제서버: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와 같은 시스템들을 통합적으로 모니터링 하고 관리하는 서버
  • 에이전트: 관리대상 시스템에 설치하는 프로그램으로 데이터복제, 배포, 모니터링, 서버제어 기능을 수행

<그림> 제품의 구성도


MCCS Enterprise의 관제서버를 이중화로 구성될 기업의 업무 서버들과 별개의 물리 혹은 가상 서버에 설치하면, 그 서버들을 관리하고 통제하기가 쉬워집니다. 이 관제서버는 Docker 이미지로 배포되며 호스트의 운영체제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리눅스 서버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그림 5> 관제서버의 구성도

문서와 제품의 용어 정의

이 절에서는 용어를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나누어서 설명합니다.


제품 관련 용어 정의

이 제품에서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일부 용어를 특정한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 표를 참고하십시오.

용어설명
DRData Replication, 데이터 복제
FT 클러스터Strarus®사의 무중단 서버로 제품명은 ftServer™. 이 제품에서는 FT 클러스터로 용어를 정의하여 사용함.
HAHigh Availability, 고가용성
LOMLights Out Management
NICNetwork Interface Card, 네트워크 카드
PVMProtected Windows VM, FT 클러스터 제품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MCCS의 리소스 그룹 개념과 유사함.
SNMP 트랩SNMP trap. 노드에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것
V2V, P2P, P2V클러스터를 구성할 때 소스 시스템과 타깃 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에 대해 축약한 표현. V2V(Virtual to Virtual), P2P (Physical to Physical), P2V (Physical to Virtual).
VMVirtual Machine, 가상 머신
호스트하이퍼바이저를 설치해 두면 가상화 운영이 가능해지는 물리적인 시스템 또는 서버
노드클러스터의 구성 단위이며, 보통 물리 머신이나 가상 머신을 지칭
가상 스위치가상화 운영 환경에서는 호스트의 물리 네트워크 카드 한 개가 하나의 가상스위치로 동작하는데, 이때 사용하는 용어. 이를 통해 여러 가상 머신들이 외부와 통신 가능
포트 그룹가상 스위치에서 관리하는 일종의 논리적인 포트의 그룹 단위이며, 가상 머신을 가상 스위치에 연결할 경우에는 가상 스위치에 생성된 포트 그룹을 지정할 필요가 있음. 이더넷 어댑터로 이해해도 무방하지만 서비스 포트 번호와는 다름.
트리거HA 이벤트나 모니터링 대상에 대해 임계치를 지정하고, 임계치에 근접한 상황일 때 알림이나 후속조치를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조건을 지칭
후속조치트리거가 발생했을 때 취해야 하는 필요한 조치를 가리키며, 시스템 후속조치와 사용자 후속조치 두 가지로 구분됨
에이전트노드에 설치하는 모듈이며, 종류로 HA 에이전트, 데이터 복제 에이전트, 배포 에이전트, 모니터링 에이전트, 서버 제어 에이전트, 이렇게 다섯 가지가 존재
위젯대시보드를 구성하는 개별 단위의 서비스 도구이며, 이 위젯들을 조합하여 사용자 편의대로 대시보드를 구성 가능
Ping.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다른 호스트에 IP 데이터그램이 도착할 수 있는지 검사하는 것을 의미
<표 1> 제품 용어 정의

매뉴얼에서의 용어 정의

이 매뉴얼에서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일부 단어들을 특정한 의미로 지정하여 사용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 표를 참고하십시오.

용어의미
서문이 매뉴얼의 목차 앞에 있는 부분을 통칭
제품MCCS Enterprise™ 솔루션을 통칭
웹페이지UI, 사용자 인터페이스, 웹 인터페이스를 통칭
리소스자원, resource를 통칭
메인메뉴제품에서 가장 상위에 있는 메뉴로, 대시보드, 시스템, DRM, 알림, 설정 다섯 가지를 포함
서브메뉴메인메뉴에 속한 메뉴이며, 메인메뉴의 바로 아래 메뉴바에 나타남.
트리메뉴메인메뉴 또는 서브메뉴에 속한 메뉴이며, 화면에서 트리 스타일로 나타나는 메뉴들을 지칭
관제서버GAM(Global Availability Manager), 관제 서버, DRM을 통칭
서버그룹서버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제품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 유형 중 하나를 지칭
애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 application을 통칭
<표 2> 매뉴얼에서의 용어 정의
  • No lab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