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록 D- StandAlone
클러스터 맴버 노드로 정의된 다른 노드의 합류를 고려하지 않고, 정의된 노드의 구성파일을 기반으로 하나의 노드에서 서비스를 운영 할 수 있도록 엔진을 동작 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이 페이지의 주요 내용
스텐드얼론 모드
필요성
MCCS는 서버를 이중화하여 중단 없는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그렇지만 서비스 운영 중에 일부 노드가 물리적인 장애 또는 운영 체제 상의 장애로 인하여 노드간의 핫빗 통신이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MCCS 에이전트는 짝(Pair)으로 움직입니다. 만일 쌍(Pair)으로 움직이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MCCS는 웹콘솔 접속 등 모든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단독으로 실행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한 대의 서버로만 MCCS 서비스를 운영해야 하므로 스탠드얼론 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하게 됩니다.
스텐드얼론 옵션 사용 방법
다음은 MCCS 서버를 스텐드얼론 옵션을 사용하여 실행시키는 방법입니다.
- MCCS 에이전트 서비스를 중지합니다. (service mccs_agent stop)
$MCCS_HOME/bin/MccsServer.ini 파일의 맨 윗부분에 '-standalone' 옵션을 추가합니다.
- MCCS 에이전트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service mccs_agent start)
상화별 스텐드얼론 동작 방법
미러 리소스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 데이터의 안전을 위해 한 노드에서 자동으로 동작하는 부분에 제한을 갖게 됩니다.
따라서 미러 리소스가 포함되어 있는 유무에 따라서 상황별 동작 방법이 2가지로 나눠지게 됩니다.
<미러 리소스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
번호 | 상황 | AutoStart 설정값에 따른 자동 그룹 시작 여부 | 수동 그룹 시작 여부 |
---|---|---|---|
1 | 두 노드가 종료된 상태에서 한 노드만 부팅할 때 | 가능 | 가능 |
2 | 한 노드 구성에서 부팅할 때 | 가능 | 가능 |
3 | 두 서버가 부팅되어 운영 중일 때 - 양 노드에서 MCCS 가 종료된 상태에서 한 노드에서만 MCCS 가 시작 될 때 | 불가능 | 자동비활성화 해제 후 가능 |
4 | 두 서버가 부팅되어 운영 중일 때 - 양 노드에서 MCCS 가 실행중인 상태에서 한 노드에서만 MCCS 가 종료되었을 때 | N/A | 자동비활성화 해제 후 가능 |
5 | 두 서버가 부팅되어 운영 중일 때 - 양 노드에서 MCCS 가 실행중인 상태에서 한 노드가 종료할 때 | N/A | 가능 |
<미러 리소스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번호 | 상황 | AutoStart 설정값에 따른 자동 그룹 시작 여부 | 수동 그룹 시작 여부 |
---|---|---|---|
1 | 두 노드가 종료된 상태에서 한 노드만 부팅할 때 | 불가능 | 자동비활성화 해제 후 가능 |
2 | 두 서버가 부팅되어 운영 중일 때 - 양 노드에서 MCCS 가 종료된 상태에서 한 노드에서만 MCCS 가 시작 될 때 | 불가능 | 자동비활성화 해제 후 가능 |
3 | 두 서버가 부팅되어 운영 중일 때 - 양 노드에서 MCCS 가 실행중인 상태에서 한 노드에서만 MCCS 가 종료되었을 때 | N/A | 자동비활성화 해제 후 가능 |
4 | 두 서버가 부팅되어 운영 중일 때 - 양 노드에서 MCCS 가 실행중인 상태에서 한 노드가 종료할 때 | N/A | 가능 |
스탠드얼론 모드의 해제 절차
문제가 있었던 서버가 정상 상태로 돌아오면 서버 관리자는 스탠드얼론 모드를 해제하고, 다음과 같이 서버 이중화 작업을 다시 진행해야 합니다.
MCCS 에이전트 서비스를 중지하거나 재시작해도 운영 중인 서비스에는 어떠한 영향도 없습니다.
스탠드얼론 모드의 해제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문제가 있었던 서버의 MCCS 에이전트 서비스를 중지합니다.
- 현재 운영 서버의 MCCS 에이전트 서비스를 중지합니다.
- 현재 운영 서버의 MccsServer.ini 파일에서 '-standalone'을 삭제하고 저장합니다.
- 현재 운영 서버의 MCCS 에이전트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 문제가 있었던 서버의 MCCS 에이전트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 MCCS 웹 콘솔을 연결하고 MCCS 서비스 상태를 확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