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IP-165] MCCS 노드간 합류 불가능

[MIP-165] MCCS 노드간 합류 불가능

Subject
MCCS 노드간 합류 불가능.


APPLIES TO:



SYMPTOMS
다음의 로그와 함께 MCCS 엔진이 합류가 되지 않음
13/08/01-03:07:13,343 | main | ne.hb.HBManager: 93 | INFO | 20059:핫빗 구성 시작
13/08/01-03:07:13,781 | main | ne.db.DbManager: 343 | INFO | 20053:노드 추가 [sanha1]
13/08/01-03:07:13,781 | main | ne.db.DbManager: 343 | INFO | 20053:노드 추가 [sanha2]
13/08/01-03:07:13,937 | Thread-8 | ccsStdErrStream: 26 | INFO | Exception in thread "Thread-8"
13/08/01-03:07:13,937 | Thread-8 | ccsStdErrStream: 26 | INFO | java.lang.NullPointerException
13/08/01-03:07:13,937 | Thread-8 | ccsStdErrStream: 26 | INFO |
13/08/01-03:07:13,937 | Thread-8 | ccsStdErrStream: 26 | INFO | at com.mantech.mccs.engine.agent.mirror.MirrorManager.run(MirrorManager.java:118)
13/08/01-03:07:13,937 | Thread-8 | ccsStdErrStream: 26 | INFO |
13/08/01-03:13:23,687 | Thread-2 | ngine.MccsStart: 134 | INFO | 20131:MCCS를 종료 합니다.


CAUSE
MCCS 시작 시 시스템의 볼륨을 갱신하여 MCCS 내부적으로 이 볼륨들을 등록하여 리스트업 하는데 사용합니다.
이 때 시스템에 존재하지 않는 볼륨에 대해서 Windows API 가 에러를 출력하는데 이 에러를 볼륩 리스트로 등록하여 발생하는 Null PointException 입니다.


SOLUTION
MCCS 3.5 이후에는 시스템의 볼륨을 갱신할 때 정상적인 출력물이 아닐경우(에러) 볼륨 리스트에 등록하지 않으므로 MCCS 3.5 이후 버전으로 설치하면 위와 같은 결과가 발생하지 않겠습니다.
업그레이드 권고드립니다.

Related content

[MIP-396] 노드 상태 중복 전달 문제 해결
[MIP-396] 노드 상태 중복 전달 문제 해결
More like this
[MSP-159] 양 노드의 웹콘솔에서 그룹 상태정보가 다르게 보인다
[MSP-159] 양 노드의 웹콘솔에서 그룹 상태정보가 다르게 보인다
More like this
[MIP-446] 미러디스크가 SWITCHOVER 시에 "MIRROR_RESYNCING -> MIRRORING" 으로 변경될 때 중복해서 2번 디버그 로그가 발생된다
[MIP-446] 미러디스크가 SWITCHOVER 시에 "MIRROR_RESYNCING -> MIRRORING" 으로 변경될 때 중복해서 2번 디버그 로그가 발생된다
More like this
[MIP-177] MCCS 설치할 때 hb.json file 생성안됨
[MIP-177] MCCS 설치할 때 hb.json file 생성안됨
More like this
[MIP-12] 50010:RUNNING 노드 링크는 연결되어 있으나 접속할 수 없습니다. 로그가 나오며 MCCS 종료됨
[MIP-12] 50010:RUNNING 노드 링크는 연결되어 있으나 접속할 수 없습니다. 로그가 나오며 MCCS 종료됨
More like this
[MIP-16] Active server에서 BSOD 발생되었으나, failover 하지 못함(원인은 perm key 가 main.json 에서 사라짐으로 추정)
[MIP-16] Active server에서 BSOD 발생되었으나, failover 하지 못함(원인은 perm key 가 main.json 에서 사라짐으로 추정)
More like this